반응형
1. 시장 개요
12월 한 달 동안 국내외 시장은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코스피 지수: 11월 30일 2,455.91에서 12월 31일 2,399.49로 -2.3% 하락.
- 코스닥 지수: 678.19로 변동 없음.
- S&P 500 지수: 6,032.38에서 5,906.94로 -2.08% 하락.
연간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보였습니다:
- 코스피 지수: 2023년 12월 31일 2,655.28에서 2024년 12월 31일 2,399.49로 -9.63% 하락.
- 코스닥 지수: 866.57에서 678.19로 -21.74% 하락.
- S&P 500 지수: 4,769.83에서 5,906.94로 +23.84% 상승.
2. 투자 성과 요약
월간 성과
- 포트폴리오 수익률: +3.5%
- 지수대비: 코스피(-2.3%), S&P 500(-2.08%) 대비 좋은 성과.
연간 성과
- 포트폴리오 연간 수익률: +14.83%
- 지수대비: 코스피(-9.63%), 코스닥(-21.74%) 대비 상대적으로 만족스러운 성과, S&P 500(+23.84%) 대비 아쉬운 성과.
3. 투자 현황
국내 포트폴리오
종목 | 비중 | 현재가 | 평균단가 | 수익률 |
산일전기 | 36.49% | ₩68,600 | ₩49,897 | +37.48% |
SK하이닉스 | 28.57% | ₩173,900 | ₩182,291 | -4.60%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17.84% | ₩7,815 | ₩7,988 | -2.17% |
케이아이엔엑스 | 12.39% | ₩76,500 | ₩77,562 | -1.37% |
KODEX 레버리지 | 4.68% | ₩13,915 | ₩16,709 | -16.72% |
해외 포트폴리오
종목명 | 비중 | 현재가 | 평균단가 | 수익률 |
GAIN (글래드스톤 인베스트) | 53.80% | $13.66 | $13.89 | -1.68% |
4. 연간 기준 수익률 상위 및 하위 종목
상위 5개 종목 (높은 순)
- 실리콘투
신규 해외 시장 진출 및 매출 성장세 지속. 디지털 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 수요 증가. - 산일전기
미국 시장 매출 확대, 안산 신공장 가동으로 생산량 증가, 친환경 에너지 관련 수요 확대. - NHN KCP
전자결제 시장 성장과 신규 고객사 확보, 수익성 개선에 따른 주가 상승. - 기아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와 글로벌 판매 실적 호조, 주요 신차 출시 성공. - SK디스커버리
석유화학 및 바이오 관련 사업 다각화로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주주환원 정책.
하위 5개 종목 (낮은 순)
- KODEX 레버리지
악재의 연속으로 인한 시장 하락으로 레버리지 상품의 손실 확대. - HK이노엔
임상 시험 결과 지연과 매출 성장 정체, 투자 심리 악화. - 메가스터디교육
학력 인구 감소,교육 시장 성장 둔화와 비용 증가로 인한 수익성 약화. - 케이아이엔엑스 (KINX)
데이터 센터 시장 경쟁 심화와 기대 이하의 매출 성장. - SK하이닉스
반도체 업황 부진과 제품 가격 하락, 글로벌 수요 약화.
5. 월간 및 연간 주요 거래 요약
- 매수
- 산일전기: 매출 성장과 공장 증설에 따른 수익성 개선 전망으로 추가 매수.
- 미국 30년 국채 ETF: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과 금리 인상 완화 기대감으로 비중 확대.
- SK하이닉스: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으로 꾸준히 매수.
- TLT (iShares 20+ 국채 ETF): 12월 말 신규 편입. 달러를 보유하기 위해 국내 상장ETF와 별개로 가져감.
- 매도
- HK이노엔: 손실 축소와 임상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전량 매도.
- KINX: 약간 상승했을 때 부분 매도.
6. 2025년 투자 전략
올해 샀다가 손실을 본 종목들이 많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더욱 신중하게 매수할 계획입니다.
투자 전략에 있어서는 워렌 버핏의 말처럼 "맞출 수 없는 공에는 방망이를 휘두르지 않는다"는 원칙을 따를 것입니다.
- 심층 분석과 제한적 투자: 시장 환경에 대한 면밀한 분석 후, 가장 확신 있는 종목에만 투자.
- 리스크 관리: 손실 가능성이 높은 종목은 제한하며, 안정적 자산의 비중을 늘려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 성장주와 방어주의 균형 유지: 성장주 비중을 유지하되, 금리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방어적 자산의 비중도 확보.
- 시장 타이밍보다는 장기 투자: 단기적 시장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투자.
반응형
'주식 > 투자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 투자보고서 (0) | 2025.02.04 |
---|---|
2024년 11월 투자보고서 (2) | 2024.12.02 |
2024년 10월 투자보고서 (0) | 2024.11.01 |
2024년 9월 투자보고서 (5) | 2024.10.02 |
2024년 8월 투자보고서 (5) | 202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