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매수∙매도 추천 글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2023-11-16
Per: 5.6
Pbr: 1.03
배당수익률: 1.27%
실적은 전년동기대비 꽤 하락 했다. 반도체 불황으로 고객사들이 시설투자를 줄였기 때문일 것이다.
부채비율은 업종대비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2023 3Q | 2022 | 2021 | 2020 | |
영업이익률 | 9.7 | 18.2 | 15.24 | 10.88 |
영업이익률은 이번 분기 9.7% 가량으로 기존 대비 낮아졌지만 제조업(제조업 영업이익률 6.3%)에서는 꽤 높은편으로 본다.(참고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30613067100002) 영업이익률은 꾸준한 납품으로 제조원가를 낮춰 납품 효율을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업황이 회복되면 같이 좋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ST의 주요 매출장비는 Scrubber와 Chiller 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공정 등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 하는 가스정화장비인 Scrubber |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상 안정적인 온도유지를 제공함으로써 공정효율을 개선하는 온도조절 장비인 Chiller 제조 |
품목 | 매출 비율 |
Scrubber | 57% |
Chiller | 18.90% |
-Scrubber
GST는 burn-wet방식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의 Scrubber를 주로 납품 하고있다.
-Chiller
칠러는 온도 상승을 제어하여 챔버 및 웨이퍼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공정 효율을 개선하는 장치 |
전기식은 전력효율이 좋아 기기 소형화에 유리하고 더욱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냉각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
단점은 온도 조절폭에 한계가 있다는 것 |
-> 반도체 식각 공정에 주로 사용하고 있음 |
동사는 전기식 칠러의 매출 비중이 조금 더 높다 |
투자포인트
1. 냉동기식 칠러에 사용 되는 쿨런트 최대 생산자인 3M은 2025년 말까지 생산 중단을 결정으로 전기식 칠러의 충분한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환경 규제로 인해 생산을 중단함
2. GST는 Micron과 대만 Foundry 업체에 칠러 장비 평가를 진행 중
3. 스크러버는 삼성전자 내에서 경쟁사에 뺏겼던 점유율을 P3에서는 우수한 장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회복 중
4. 주요 고객사 인 삼성전자의 경우 P3Foundry 투자가 진행되고 4Q23부터는 미국 Taylor Fab 장비 입고 예 상. 삼성전자와 Micron 내 점유율 확대가 기대되고 해외 고객사 견조한 수요 예상됨
5. AI 챗봇 기반 서비스 확대, 5G, 자율 주행차와 빅데이터 연관산업으로 대표되는 미래형 산업규모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6. 지구온난화, 탄소 중립 정책으로 Scrubber의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
7. 고정밀온도제어의 필요성으로 Chiller의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
Risk
1. 반도체의 업황 둔화
->견조했던 서버 분야도 과잉 재고로 구매 의지가 약화됨
※반도체 업황은 수요 확대 → 메모리 가격 상승 → CAPEX 확대 → 수요 둔화 → 메모리 가격 하락 → CAPEX 하향 → 수요 확대의 Cycle이 반복
2. 미국의 대중국 장비 수출 통제로 반도체 장비 구매에 대한 투자는 감소
경쟁사
품목 | 경쟁사 정보 |
Scrubber | 진공pump 1위업체인 Edward 일본의 Kanken, Ebara, 독일의 das사, centrotherm |
Chiller | 국내의 유니셈, FST 세계적으로는 Daikin, SMC, ATS 등의 회사가 있음 |
-> 업체별 수주내용이 비공개이고 공신력 있는 통계자료가 없어 점유율을 객관적으로 산출하기 힘듬.
반도체 사이클 관련 참고자료
'주식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분석 - NHN KCP (1) | 2023.12.22 |
---|---|
종목 분석 - 제이시스메디칼 (1) | 2023.12.18 |
종목분석 - 메가스터디교육 (0) | 2023.11.27 |
종목분석 - 비에이치 (4) | 2023.10.12 |
종목분석 - SK디스커버리 (0) | 2023.10.06 |